말레이시아 랑카위 한 달 살기

한 달 살기를 시작했다. 랑카위 한 달 살기 시작하기 전에는 정말 짧게는 하루, 길면 3주 정도 한곳에서 지냈다. 같은 나라 안에서도 지역을 계속 옮겼다. 이런 생활을 1년 정도 했다. 이동을 너무 많이 하니까 몸도 지치고, 비용도 많이 들어 전략을 바꿔 어디를 가든 최소 한 달은 지내기로 했다.

지역을 랑카위로 정한 이유는, 코로나 시기(2022년 7~8월)였고, 아시아 대부분의 나라들은 코로나 규정이 많았다. 그나마 규정이 덜 한 곳이 말레이시아였다.

랑카위 한 달 살기 한 지 벌써 2년이 지났지만, 아직 랑카위에서만 한 달 살기 했다는 글을 찾지 못했다. 쿠알라룸푸르, 페낭, 조호바루에서 한 달 살기 하면서 며칠 놀러 오는 식으로 랑카위에 방문하는 것으로 보인다.

목차

      준비물

      코로나 시기(2022년 7~8월)였기 때문에, 서류와 앱이 필요했었다. 마이세자트라(MySejahtera) 앱과, 마이세이프트래블(MySafeTravel)에 백신접종증명서를 등록했다. 쿠알라룸푸르에 입국할 때, 당일 타고 온 항공권, 말레이시아 밖으로 나가는 항공권도 확인하고 꽤 까다로웠지만, 열심히 등록한 마이세자트라는 검사 안 했다.

      숙소

      에어비앤비는 방 2개, 화장실 2개, 주방이 있는 곳을 한 달 빌렸다. 비 안 맞게 주차장도 잘 되어 있었고, 건물 공용 수영장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다. 725달러. 그렇지만 위치가 애매해서 추천하지 않는다. 요리 도구가 다 갖추어져 있었지만, 컵라면 정도만 숙소에서 먹었고 밖에서 사 먹었다. 관리비는 우리가 쓴 만큼 따로 나왔고, 집주인이 우리가 얼마나 썼는지 상세내역을 전달해 줬다. 에어비앤비 통해서 19.28달러 결제했다.

      물가

      유럽과 비교했을 때 훨씬 저렴할 거로 예상했지만, 숙소는 그렇지 않았다. 우리가 시간 여유 없이 결정해서 비싼 것만 남았을 수도 있다.

      기름: 전 세계적으로 기름값이 올라서 난리인데, 여기는 다른 세상이다. 1리터에 2.05링깃, 그러니까 한국 돈으로 하면 약 600원이다. 5링깃, 약 1500원이면 125cc 스쿠터에 가득 넣을 수 있다.

      음식: 1인 한 끼에 2~4달러면 간단하게 먹을 수 있다.

      과일: 말해 뭐해, 동남아의 달고 싼 맛있는 과일!

      가볼 만한 곳과 액티비티


      Posted

      in

      by

      Comment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